동구맛집

동구에서 추천해 드리는 검증도니 맛집으로 놀러오세요. 동구대표음식점

식품안전정보
식품정보마당 식품안전정보
팽이버섯 생산업체에 대한 위생관리 강화
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0-03-20 조회수 35 
내용

□ 정부는 미국*으로 팽이버섯을 수출하는 4개 업체를 조사한 결과, 2개 업체의 팽이버섯에서 리스테리아균이 검출**되어 생산·유통 과정에서 위생관리를 한층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


   * 한국은 팽이버섯을 가열?조리하여 섭취하나, 미국은 바로 섭취하는 샐러드 형태로 먹는 등 식문화가 달라 미국에서 리스테리아 식중독이 발생한(‘16.11~’19.12) 것으로 추정


  **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된 팽이버섯을 70℃ 3분, 5분, 10분, 100℃ 15초, 1분 가열한 결과 리스테리아균이 사멸됨(농관원 실험결과)


 ○ 우선, 팽이버섯을 가열?조리하여 섭취하면 식중독을 예방*할 수 있으므로 팽이버섯 포장에 소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“가열조리용”인 점을 표시하도록 개선**하고 이를 제도화해 나갈 계획입니다.

   * ? 리스테리아균은 토양, 물 등 자연 환경에 분포 ? 선진국 등에서도 일반농산물은 생산단계에서 위생관리를 통해 리스테리아균을 저감(低減)시키고 소비단계에서 가열·조리 등을 통해 섭취하도록 하는 등 식중독 예방에 초점을 두고 관리


  ** 이번 표시조치는 대규모 생산업체(8개 업체, 전체 연간 생산량의 95% 수준)의 23일 출하물량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임


 ○ 아울러, 팽이버섯을 포함한 버섯 생산업체에 대해서는 정기적 위생점검, 매뉴얼 배포 및 위생관리 교육·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.


□ 국내에서는 통상 팽이버섯을 가열·조리하여 섭취하고 있고, 현재까지 팽이버섯을 섭취하여 발생한 리스테리아균 식중독 사고가 보고된 사례는 없었습니다.


□ 미국으로 수출하는 4개 업체를 포함하여 국내 21개 팽이버섯 생산업체를 조사한 결과, 가열·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먹는 샐러드 등 신선편의식품을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

 ○ 또한, 식품 품목제조보고 자료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현재까지 팽이버섯이 포함된 신선편의식품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.


 ○ 정부는 그대로 섭취하는 신선편의식품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리스테리아균을 검사하는 등 위생관리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.


이전글
성인 하루 커피 4잔, 청소년 에너지음료 2캔 이내로 섭취하세요
다음글
여름철,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하세요새글
목록
위로이동